옛날에는 '방송=TV', 단순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TV 옆에 셋톱박스란 놈이 자주 보이고, 요즘엔 TV를 켜면 방송 대신 요란하지만 그닥 쓸모 없는 화면이 나오기도 한다.(스마트TV) 심지어 애플TV, 구글TV는 이름만 TV지 화면출력장치도 없다. 요컨대 TV와 방송이 따로 노는 시대다. 방송을 종류 별로 정리해보자. ※ 방송이란? 방송법에 " 방송프로그램을 기획,편성 또는 제작하여 이를 공중에게 전기통신설비에 의하여 송신하는 것 "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즉, 기획/편성/제작하는 CP(Contents Provider)와 전송을 담당하는 방송사업자의 두 축으로 이뤄진다. 이 글에선 후자에 대해서만 살펴볼 것이다. 1. 지상파 (a.k.a. 공중파) KBS, EBS, MBC, SBS, OBS가 있다. 땅속의 케이블이나 하늘의 위성에 대비하여 지상의 송신탑으로 전송한다 하여 지상파라 불리며, 공중(Public임 Air 아님)에게 open되어 제공된다 하여 공중파라고도 불리는데, 방송법 상 공식명칭은 지상파이다. 안테나 달고 동축케이블로 TV에 연결하면 TV가 신호를 해석하여 화면을 출력한다. 라디오처럼 방송마다 주파수 대역이 다르니 튜너에서 대역만 맞춰주면 채널이 바뀐다. 아파트에는 보통 옥상에 공청안테나가 있고 집집마다 케이블 배선이 되어있어서 따로 안테나를 달 필요도 없다. 최근들어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고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된 이유는 전송 효율을 높여 더 적은 주파수로 더 좋은 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려 함이다. 기술적으론 많이 다르지만 시청자 입장에선 화질과 화면비율이 조금 바뀌었을 뿐 큰 차이는 없다. TV에 따라 둘 중 하나만 지원할 수도 있다는 정도만 알면 될 것 같다. 참고로 나라마다 방송 규격이 다르므로 보통 해외에서 사온 TV로는 국내 지상파방송을 볼 수 없다. 2. CATV (케이블방송) CJ헬로비전, T브로드, C&M, 현대HCN 등이 있으며 방송...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