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LTE는 비싸고 WiFi는 공짜일까?
LTE와 WiFi는 모두 핸드폰이나 노트북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을 하기위한 기술이다. 그런데 왜 LTE는 무제한 요금이 10만원이나 하고, WiFi는 무료인걸까? WiFi는 공유기 하나로 가족 모두가 연결해서 쓸 수 있지만 LTE는 내 핸드폰 하나만 붙을 수 있는데.. 왜 이번 달 LTE 데이터가 소진될까봐 귀찮게 WiFi를 켜야하는 걸까? WiFi는 집집마다 들어와 있는 인터넷 회선에 무선공유기를 달아 쓴다. "유선인터넷이 있고 이를 무선화 한다." 이게 WiFi의 핵심이다. 인터넷 업체들이 처음에는 WiFi를 쓰면 요금도 추가해서 받아보려고 여러 시도를 했으나 결국 실패하고 그냥 회선 속도에 따라서만 요금을 달리 내도록 했다. 유선인터넷은 종량제도 아니니 WiFi 역시 데이터를 얼마나 쓰던 무료다. 사실 인터넷 요금을 내어야 WiFi를 할 수 있으니 공짜가 아니라고 볼 수 도 있다. 스타벅스에서 WiFi를 공짜로 할 수 있는 것도 커피값으로 스타벅스의 인터넷 요금을 내주는 것이고, 지하철과 버스에서 잡히는 통신사 WiFi도 LTE요금에 포함된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어쨌거나 WiFi에 대한 직접적인 요금은 없다. LTE는 이동통신에서 출발한 것이 핵심이다. 이동통신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 중에도 전화를 하기위해 탄생한 기술이다. 전화가 잘 되고나니 욕심이 생겨 데이터도 보내려 노력한 결과 정말 느리지만 인터넷이 되기 시작했고, 3세대(3G)에 이어 4세대 기술인 LTE에 이르러 기존 유선인터넷 속도를 거의 따라잡았다. 중요한 건 이동통신이 발전한 결과물인 만큼 전국 어디서나, 차를 타고 가면서도 끊김없이 인터넷이 된다는 거다. 이 작다면 작은 차이를 위해 고객은 비싼 요금을 지불한다. 비싼 요금이 유지될 수 있는 핵심 이유는 3개 회사의 과점 체제일 것이다. 막대한 자금을 들여 네트워크 장비를 전국적으로 설치하는 거야 유선인터넷과 비슷하지만, 이동통신 서비스를 하려면 나라에서 주파수를 받아야...
댓글
댓글 쓰기